생활비 절약을 위한 전시,가스 요금 절약하기
전기요금 다이어트 이야기
전기세는 어떻게 부과될까?
전기 요금을 절약하기 위해서는 전기세가 어떻게 부과되는지부터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기본요금과 전력량 요금(흔히들 불리는 누진세)이 전기 요금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요. 거기에 전력 산업기반기금과 부가가치세를 더하면 매달 부과되는 전기요금이 됩니다. 주택용 전력은 사용량에 따라서 기본요금과 전력량 요금을 각 6단계로 구분하여 누진율을 적용합니다.
100kwh 이하 사용 |
410 |
처음 100kwh까지 |
60.7 |
101~200kwh 사용 |
910 |
다음 100kwh까지 |
125.9 |
201~300kwh 사용 |
1,600 |
다음 100kwh까지 |
187.9 |
301~400kwh 사용 |
3,850 |
다음 100kwh까지 |
280.6 |
401~500kwh 사용 |
7,300 |
다음 100kwh까지 |
417.7 |
500kwh 초과 사용 |
12,940 |
500kwh까지 |
709.5 |
예를 들어, 고지서에 102kwh를 사용했다고 가정을 해본다면,
1.기본요금 : 100kwh 초과로 910원.
2.전력량 요금 : 처음 100kwh x 60.7원=6070원-나머지 2kwh x 125.9원=251.8원 -> 총 6070원+251.8원 = 6321원 입니다.
3. 요금 합계(기본요금+전력량 요금) : 910원+6321원=7231원
4.부가가치세(요금 합계x10%) : 7231원x0.1=723원
5.전력산업기반기금(요금 합계x3.7%) : 7231원 x 0.037=260원(국고금단수법에 의해 10원 미만 절사합니다.)
6.청구금액 : 7230원+720원+260원=8210원(국고금단수법에 의해 10원 미만 절사합니다.)
사용하고 있는 전기 제품의 소비 전력을 알고 있으면, 해당 제품이 전력을 얼마만큼 소비하는지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비 전력이 45w인 선풍기를 한달 동안 매일 6시간 틀었다고 하자면, 이 선풍기의 월 평균 전력 소비량은 소비 전력(45w)x 평균 1일 소비 시간(6시간)x30일=8100wh입니다. 단 제품 사용 시간이나 환경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에어컨 '전기요금폭탄 주범'이라는 누명을 벗깁시다.
흔히 에어컨을 자주 껐다 켜면 전기 요금이 더 많이 나온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그러나 에어컨은 30분만 켜놓아도 1시간 이상 온도ㄹ를 시원하게 유지시켜 주기 때문에 잠깐씩만 켜는 것이 오히려 전기 요금을 절약하는 방법중 하나입니다. 에어컨과 선풍기를 같이 사용하는 것도 전기 요금을 아낄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선풍기를 에어컨 바람이 나오는 부분 바로 앞에 두어 바람발향을 같게 한다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선풍기가 에어컨의 시원한 바람을 더울 빨리 순환 시켜서 더 큰 냉방 효과는 내기 때문입니다. 또 냉방 모드로만 사용하기 보다 적절하게 제습모드나 송풍모드등의 때에 맞는 운전 방법을 바꿔서 사용하게 된다면 최대 40%까지 전기 요금을 절감한는 효과를 보게 됩니다. 제습 시에는 실내온도가 아닌 습도를 낮추는 것이 목적이니 실내기가 약풍으로만 회전하여 상대적으로 전기요금이 적게 듭니다. 송풍의 경우, 선풍기 같은 역할만 하기 때문에 실외기의 사용이 적어 냉방보다 전기를 적게 소비하게 됩니다.
tip.가전제품 절약을 위한 작은 실천 세가지 방법입니다.
1.냉장고는 벽과 거리를 두고 배치하여서 냉장고 뒷면의 온도가 많이 올라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또 냉장고의 냉장실에는 음식물이 60% 정도 찼을 때, 냉동실을 80%이상 찼을 때 냉기가 잘 전달되어 전기가 절약됩니다.
2. Tv의 셋톱박스는 대기 전력이 상당히 높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때엔 꺼두는것이 좋습니다.
3. 밥솥은 장시간 보온으로 사용하지 말고, 1인분씩 냉동했다가 전자레인지에 데워먹는것이 전기 요금을 아끼는 방법입니다.
가스요금은 어떻게 부과될까?
전기요금 때문에 괴로웠던 여름이 가고, 가스 요금이 걱정되는 계절엔 요금 폭탄이 두렵긴 하지만 겨울에는 난방을 안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지금부터 차근차근 공부해 겨울이 다가올땐 현명하게 대처하는게 좋습니다.
도시가스 요금은 고지서에 나와있는 당월 사용량x단가를 계산한 뒤 기본 요금과 부가세를 더해 산출합니다.
다음 달 요금을 예상하며 계획적으로 사용하는것이 더 중요한데, 본인 집의 가스계량기 수치를 확인하면 사용량을 쉽게 예측할수 있습니다. 계량기에 찍힌 숫자 중 세번째로 부터 다섯번째 숫자까지 세 자리를 기억해두는게 좋습니다. 이 숫자에 지난달 가스 요금 고지서에 나와 있는 당월지침 보정계수를 빼면 이번 달에 사용한 가스 양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구한 이번 달 가스 사용량에 1000을 곱한 뒤, 기본요금과 부가세 예상 금액 1500원 정도를 더하면 다음달 가스 요금에 대한 근사치를 얻을 수 있게 됩니다.
tip.가스레인지 알뜰 사용 요령법 입니다.
가스레인지 불꽃을 너무 세지 않게 사용하는 것 또한 가스 요금을 아낄수 있는 길입니다. 요리를 할 때는 음식 양에 맞는 조리 기구를 사용하고, 불꽃이 조리 기구 옆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세심하게 화력을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